티스토리 뷰

 

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진 카드입니다. 2023년 1월 27일부터 시범사업을 시작해 7월부터 정식으로 도입되었으며, 많은 사람들이 이 카드를 통해 더 친환경적인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 

 

기후동행카드 소개 < 교통 < 서울특별시

 

기후동행카드의 이용 정보

기후동행카드는 누적 판매량이 150만 장에 달하며, 가격은 7천 원으로 매우 합리적입니다. 만 19세부터 39세까지의 청년들이 월 5만 원대에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어, 서울 지하철과 서울시 면허 버스, 공유자전거인 따릉이를 포함한 다양한 교통 수단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이 카드의 혜택 중 하나는 서울 시립과학관과 국립발레단 티켓에서 50% 할인과 같은 문화시설 할인입니다. 관광을 즐기고자 하는 분들은 1일권에서 5일권까지 선택할 수 있으며, 모바일 카드 발급도 가능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하지만 기후동행카드의 단점으로는 서울 지역에 한정되어 사용되며, GTX, 신분당선, 공항버스 및 광역버스는 이용할 수 없는 점이 있습니다. 이 점은 사용 시 유의해야 할 사항입니다.

 

 

기후동행카드와 K-패스 비교

기후동행카드는 K-패스와 비교할 때, 대중교통 이용 패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. K-패스는 전국 17개 시도에서 이용 가능하며, 환급 방식으로 대중교통비 사용 시 적립하여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. K-패스는 만 19세 이상 성인이 가입할 수 있으며,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환급이 가능합니다.

 

 

두 카드의 가격을 비교해보면 기후동행카드는 62,000원 또는 65,000원(따릉이 포함)으로, K-패스는 54,600원(30% 환급)입니다. 개인의 대중교통 이용 패턴에 따라 가장 유리한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을 통해 환경을 생각하는 훌륭한 선택입니다. 서울 지역에서 무제한으로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, 문화시설 할인 혜택도 다양하게 제공됩니다. 개인의 대중교통 이용 패턴에 따라 기후동행카드와 K-패스를 비교해 최적의 선택을 하시면 좋겠습니다. 환경을 위한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

 

 

기후동행카드 소개 < 교통 < 서울특별시

 

댓글